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되 / 돼 의 구분, 안되 / 안돼? 외 않되? 알아봅시다

by 김소닉 2023. 2. 22.
반응형

인터넷에서는 맞춤법을 잘 지켜서 사용한다기보다는 의미만 통하면 된다는 식으로 구분해서 써야 할 맞춤법들을 무시하고 쓰는 경우가 많은데요. 다 안다고 생각하지만 정말 많이 틀리는 되 / 돼 의 구분하는 방법 어려운 말은 쏙 빼고 아주 쉽게 예문 위주로 빠르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되 / 돼 어떻게 구분할까?

우리나라 말에는 어간, 어미, 어근 등 꽤 복잡하게 얽혀있습니다. 이걸 다 설명하려면 너무 길기 때문에 빠르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되]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다.
[되]는 문장 끝에 올 수 없다.

 

이 원칙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예문 보겠습니다.

 

  1.  나 오늘 술 마셔도 되? (X) -> 나 오늘 술 마셔도 돼?
  2. 오늘 인터넷 연결이 안 됨(O) -> [됨]은 [되+ㅁ](명사형 어미)가 붙어서 생긴 말, 됌이라는 말은 없음

[되]의 구분법

 

[돼]는 [되+어]의 형태
[돼]는 단독으로 사용 가능

예문 보겠습니다.

 

  1.  사람을 함부로 평가해서는 안돼.(O)
  2.  맞춤법은 정확하게 지켜야 돼.(O)
  3.  당신을 알게 돼어 기뻐요(X) -> [돼]는 [되+어]의 형태이므로 알게 되어가 맞는 말입니다.

[돼]의 구분법

완전히 쉽게 되 / 돼 한방에 쓰임 알아보기

[돼 / 돼]가 들어갈 자리에 [하 / 해]를 넣어보면 됩니다.

 

  • 과자 먹어도 돼요? -> 과자 먹어도 하요?(X), 과자 먹어도 해요?(O) **[-하요]보다는 [-해요]가 더 잘 어울립니다.

정답 : 과자 먹어도 돼요?

 

  • 군인이 되고 싶어 -> 군인이 하고 싶어(O), 군인이 해고 싶어(X) **[-해고] 보다는 [-하고]가 더 잘 어울립니다.

정답 : 군인이 되고 싶어

 

[되 / 돼] 쉽게 구분하는 방법

 

안 돼 / 안돼 , 됨 / 안 됨

위에서 설명했듯이 [되]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고, 문장의 맺음말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안 되]는 맞지 않는 말입니다. [안 돼]로 사용하시는 것이 맞습니다."위험한 곳에가면 안 돼"처럼 [안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또한 [안 되나요?]와 같은 말은 맞춤법에 맞는 말이니 사용하셔도 되겠습니다. [됌] 역시 맞지 않는 말입니다.예를 들어 "이 빵 나 먹어도 됌?"이라고 말한다면 틀린 표현이 됩니다. "이 빵 나 먹어도 됨?"이라고 해야 맞는 말입니다. 이 역시 [하 / 해]를 넣어서 자연스러운 문장이 되는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