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눈은 빛으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를 수집하여 뇌로 전달하는데 이를 시각정보라고 해요. 이러한 시각정보들은 망막이라는 기관을 통해 시신경세포라는 신경섬유다발 다발로 연결되어 하나의 영상으로 인식되는데요. 하지만 사람마다 각각 다른 각막모양 및 수정체 굴절력 차이로 인해 물체의 상이 망막 앞 또는 뒤에 맺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굴절이상이라고 합니다.
눈의 굴절이상
굴절 이상의 종류에는 대표적으로 근시, 난시, 원시, 노안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하나하나 천천히 알아볼게요.
1. 근시
→빛의 굴절을 담당하는 기관은 각막과 수정체인데, 굴절에 이상이 생겨 망막보다 앞에서 초점이 맺히는 것을 근시라고 합니다. 상대적으로 원거리의 물체가 근거리에 있는 것보다 잘 안 보이게 됩니다.
쉽게 말해 원거리가 잘 안 보이는 눈의 상태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2. 원시
→원시는 물체의 상이 맺히는 부위가 망막보다 뒤쪽일 때 나타나는 굴절이상인데요. 비교적 약한 정도의 원시는 눈의 조절력으로 초점을 움직여 망막에 정확한 상을 맺히게 할 수 있지만 과도한 원시가 있는 경우 더 많은 조절을 필요로 해서 망막 표면에 정확한 상이 맺히지 않게 됩니다.
※ 근시와 반대의 개념이라고 알고 계실 수도 있지만, 원시의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원시의 양이 과도한 경우 원거리, 근거리가 모두 잘 안 보이게 되며, 원거리, 근거리 중 상대적으로 원거리가 근거리에 비해 보기 편한 경향이 있습니다.
3. 난시
→난시란 눈의 굴절력이 모든 방향(경선)에 걸쳐 동일하지 않아 눈으로 들어온 빛이 한 점에서 초점을 맺지 못하고 2개 이상의 초점을 갖게 되는 굴절이상이에요. 일반적으로 난시는 각막과 수정체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 대부분 각막에 원인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어느 정도의 난시를 갖고 있으나 그 정도가 심하면 시력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난시는 근시나 원시와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난시는 안과적 이상을 초래할만한 특별한 일이 없다면 일반적으로 크게 진행하거나 변화하지 않습니다. 거리에 상관없이 사물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고 흐릿하게 보이게 됩니다.
근시, 원시, 난시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정확한눈의 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안과진료를 꼭 받으셔야 합니다. 안과에 내원하셔서 눈의 상태를 진단받고 필요하다면 안경을 착용하는 게 좋은 시생활에 도움이 됩니다. 특히, 어린아이들은 스스로 눈의 불편함의 상태를 알기 어렵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검진하는 게 좋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내장 원인 치료방법 예방법 알아보기 (0) | 2022.12.27 |
---|---|
백내장? 백내장 초기 증상, 원인, 치료 방법 알아보기 (0) | 2022.12.27 |
역류성식도염 증상, 예방법 알아보기 (0) | 2022.12.26 |
독감 코로나 차이 비교 예방법 알아보기 (0) | 2022.12.25 |
99%가 몰랐던 수분 섭취 가이드 물, 얼마나 알고 드세요? (0) | 2022.12.25 |
댓글